본문 바로가기
정치 뇌피셜!

비례대표제 란 무엇인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by 티롤의삶 2024. 2. 5.
반응형

국민을 대신하는 국회의원 자리에는 지역구의석과 비례대표석이 존재합니다. 지역구는 말 그대로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지만, 비례대표에 대한 이해는 조금 부족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비례대표제 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례대표는 누가 되며, 어떻게 배분이 되고, 어떤 방식으로 선정이 되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우리의 정치상식을 조금 더 향상하는 시간이 되도록 해 보겠습니다.

 

비례대표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비례대표제 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목차

  • 비례대표제
  • 비례대표제 시작
  • 비례대표제 배경
  • 비례대표의석 배분 기준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 비례대표제

비례대표제(比:견줄 비, 例:법식 례, 代:대신할 대, 表:겉 표, 制:억제할 제) 란, 선거에서 정당의 득표한 수만큼 에 비례하여 당선자 수를 결정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선거구에서는 다수를 득표한 1인만 당선되고, 그 외의 표는 사표(死:죽을 사, 票:표 표)가 되는데, 이러한 단점을 일부 보완하기 위해서 도입된 제도입니다.

 

▣ 비례대표제 시작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으로 비례대표제를 도입했으며, 이 당시에는 득표율이 5% 미만, 지역구 의석 3석 이상을 얻어야지만 비례대표를 얻을 수 있었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들어서야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수를 배분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지지하는 후보를 뽑는 지역구 투표 1장과, 지지하는 정당을 뽑는 비례대표 투표 1장, 총 2장을 투표하는, 1인 2 표제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 비례대표제 배경

비례대표가 탄생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표(死:죽을 사, 票:표 표) 방지
  • 소수 정당의 원내 진출 기회 제공
  • 다양한 계층의 원내 진출 기회 제공

우리나라는 1표라도 더 얻은 후보가 당선이 되는 '다수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여러 후보가 나왔을 경우에는, 매우 적은 표로도 당선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그에 따라 많은 득표가 사표(死:죽을 사, 票:표 표)가 되는 경우가 생기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나온 제도입니다.

득표 : A후보:31%, B후보:30%, C후보:25%, D후보:14%
결과 : A후보:31% 당선, B/C/D후보:69% 사표

상식적으로 '다수대표제'는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 비례대표의석 배분 기준

현행 선거법상 비례대표 의석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배분이 됩니다.

  • 유효투표 총수의 3% 이상 득표
  • 지역구 의원 5석 이상 확보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우리나라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란, 정당별로 당선자 후보명부를 미리 정해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후 선거에서 얻은 정당득표율에 따라, 등록된 순서대로 당선인을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참고로 정당이 후보자를 추천할 때 공직선거법상 지켜야 할 내용이 있습니다.

  • 총 후보자 중 50% 이상 여성으로 추천할 것
  • 후보번호 홀수자리는 여성으로 배정할 것

비례대표로 당선된 의원은, 정당득표로 당선이 된 사람이기 때문에, 탈당을 하거나 정당이 해산이 될 경우에는, 의원직도 자동으로 상실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비례대표제 란 무엇인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연동형 비례대표제 란? vs 병립형 비례대표제 란?

선거의 계절이 다가오면, 정치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매우 바빠지기 시작합니다. 민주주의 꽃인 선거를 한다는 것은 매우 뜻깊은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선거 얘기가 나오면, 연동형 비

tirol.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