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정보!

내사, 용의자, 입건, 피의자, 공소, 제기/기소, 피고인의 뜻!

by 티롤의삶 2022. 11. 17.
반응형

내사, 용의자, 입건, 피의자, 공소, 제기/기소, 피고인의 뜻!

언론에서 범죄에 대한 내용을 다루다 보면, '내사, 용의자, 입건, 피의자, 공소, 제기/기소, 피고인'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다 보니, 그 뜻을 잘 알지 못하고, 그래서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사, 용의자, 입건, 피의자, 공소, 제기/기소, 피고인'의 뜻에 대해서 각각 알아보고, 사용한 예를 통해서, 정확히,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아는 만큼 진실에 가까워질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 용어 해설

내사

내사(內:안 내, 査:사실할 사)란? 범죄에 대한 의심만 있고, 정확한 범죄로써의 성립이 되기 않은 상황에서, 조사의 필요에 의해서 내부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용의자

용의자(容:얼굴 용, 疑의심 의, 者:사람 자)란? 범죄에 대한 의심이 가는 사람을 말합니다.

 

입건

입건(立:설 입, 件:물건 건)이란? 수사기관인 경찰이, 범죄가 성립이 되어, 정식으로 수사를 개시되어, 형사사건이 된 것을 말합니다.

 

피의자

피의자(被:이불 피, 疑:의심 의, 者:사람 자)란? 범죄에 대해서 의심이 가는 자로써, 입건이 되었지만, 아직 공소(기소)가 제기되지 않은 사람을 말합니다.

 

공소

공소(公:공변될 공, 訴:하소연할 소)란? 범죄가 성립이 되어, 검사가 법원에 재판을 청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소/제기

기소(起:일어날 기, 訴:하소연할 소)/제기(提:끌 제, 起:일어날 기)란? 범죄가 성립이 되어, 검사가 법원에 재판을 청구하는 공소를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피고인

피고인(疲:피곤할 피, 告:고할 고, 人:사람 인)란? 입건되어 범죄가 소명이 되어, 공소가 제기된 자를 말합니다.

 

▒ 용어 적용 예

우연하게 알게 된 정보로 인해서, 범죄에 대한 의심을 가지게 된 경찰은, 경찰 자체적으로 내사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보안에 들어 있는, A 씨를 용의자로 지목되게 됩니다.
결국, 해당 정보는 범죄사실이 확인이 되고, 정식 사건으로써 경찰에 입건이 되고, A 씨는 피의자로 전환이 됩니다.
이후, 계속된 조사 끝에, 해당 사건은 범죄가 성립이 되어, 검찰로 공소 제기/기소하게 되고, A씨는 해당 범죄에 대한  피고인으로 전환이 되어 재판을 받게 됩니다.

 

 

즉, 다음과 같이 연결하시면, 이해하는데 조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사 - 용의자
입건 - 피의자
공소 - 피고인

※ 공소는 검사가 법원에 재판을 '요구하는 것'을 말하며, 제기/기소는 그러한 '요구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https://tirol.tistory.com/entry/%EB%B9%88%EA%B3%A4-%ED%8F%AC%EB%A5%B4%EB%85%B8%EC%99%80-%EC%B0%B8%EC%82%AC-%ED%8F%AC%EB%A5%B4%EB%85%B8-%EC%A0%9C%EB%8C%80%EB%A1%9C-%EC%95%8C%EA%B3%A0-%EC%82%AC%EC%9A%A9%ED%95%98%EC%9E%90

 

'빈곤 포르노'와 '참사 포르노',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빈곤 포르노'와 '참사 포르노',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고, "빈 수레가 요란하다", "목소리 크면 이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요즘 들어 정치권을 바라보며

tirol.tistory.com

 

 

피고인,피의자,입건,내사
아는게 힘이다!

댓글